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다주택자 취득세·양도세 완화 정리, 중과세 유예부터 장기보유특별공제까지

by 더-샘물 2025. 7. 4.
반응형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바뀌면서 다주택자를 향한 규제도 점차 완화되고 있어요!! 취득세부터 양도소득세, 장기보유특별공제까지 관련 세제가 어떻게 바뀌고 있고, 실질적으로 어떤 혜택이 있는지 정리해 봤어요.

 

다주택자 취득세, 얼마나 완화됐나요?

기존에는 조정대상지역 내 2 주택자에게 취득세 8%, 3 주택자에게는 12%의 중과세율이 적용됐어요.

 

하지만 2024년 하반기 이후부터,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라 일정 요건을 충족한 다주택자의 취득세 중과가 유예 또는 감면되기 시작했어요.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비조정대상지역의 주택 구입 시, 2 주택자라 하더라도 **기본세율(1~3%)**을 적용받을 수 있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요. 단, 지역 요건이나 전용면적, 실거주 목적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해요.

 

양도세 중과 유예는 언제까지? 실제 적용 예시

2025년 1월 기준으로,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세 유예 조치가 계속되고 있어요.

 

기존에는 조정지역 내 2 주택자에게는 20%, 3 주택자 이상일 경우 30%의 중과세율이 적용됐어요. 하지만 지금은 해당 중과세율이 한시적으로 유예되면서, 기본세율(6~45%)만 부담하면 돼요.

 

예를 들어 3 주택자가 조정지역 내 주택을 10억 원에 양도했을 경우, 과거엔 기본세율 45%에 중과세율 30%가 더해져 최대 75% 세율이 적용됐지만, 지금은 기본세율만 적용돼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든 상태예요.

 

단, 이 유예조치는 한시적인 정책으로, 당해 연도 말에 종료될 가능성도 있어요. 매도 타이밍을 놓치지 않으려면 관련 일정을 꼭 확인해야 해요.

 

장기보유특별공제, 다주택자도 가능해졌나요?

기존에는 중과세 대상자에게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배제했었지만, 2024년 말 개정 이후 2025년부터는 일부 다주택자도 보유기간에 따라 공제 적용이 가능해졌어요.

 

3년 이상 보유한 주택의 경우, 연 2%씩, 최대 15년 이상이면 30%까지 장기보유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단, 보유 기간과 거주 요건이 함께 충족돼야 하며, 조정지역 여부와 주택 수 등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조건을 확인해야 해요.

 

주택 수 계산 방식 변화

과거엔 분양권, 오피스텔, 상가주택 등도 주택 수 산정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25년부터는 일정 기준에 따라 제외되는 경우도 생기고 있어요. 특히 1 가구 2 주택 판정 시점과 실제 보유 시점을 혼동하지 않아야 세제 혜택을 놓치지 않아요.

 

 

예를 들어 1 주택 + 1 분양권을 보유한 경우, 분양권을 주택 수에 포함시키지 않는 지방세 적용 사례도 일부 나오는 추세예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2 주택자도 양도세 중과 유예 대상인가요?
→ 조정지역 내 2 주택자라면, 유예 기간 내 매도 시 20% 중과세율 없이 기본세율만 적용돼요.

 

Q. 유예 적용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 정부는 현재까지 2025년 12월 31일까지 중과세 유예를 연장했으며, 향후 연장 여부는 하반기 발표 예정이에요.

 

Q. 취득세 중과 유예는 자동 적용되나요?
→ 아니요. 실거주 여부, 면적, 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지방세 상담센터나 해당 지자체 세무과에 직접 확인해야 해요.

 

다주택자 규제가 완화되면서 실제 세 부담이 줄어드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어요.

 

하지만 이 혜택들은 대부분 한시적인 조치이기 때문에, 매도 계획이 있다면 가급적 2025년 내에 전략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장기보유공제와 중과세 유예는 반드시 사전 조건을 확인하고 적용받아야 해요.

반응형